2 분 소요

SVM(Support Vector Machine)

저번 포스팅에서 SVM이 무엇인지 전반적으로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그때 SVM이라는 것은 결국 Decision Boundary가 자신과 분류하는 데이터들 사이의 Margin이 클수록 안정적이고 균형적임을 강조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SVM에서 핵심 키워드라고 할 수 있는 Margin에 대해 수학적으로 접근해보고, Margin을 키울려면 어떠한 조건이 필요한지 알아보겠습니다.

Vector의 내적

image

여기 2개의 vector $u$, $v$ 가 있습니다. 각 vector는 2개의 값을 갖습니다. 이때 $v$ 벡터를 $u$ 벡터에 투영해보겠습니다. 이때 투영된 벡터의 길이가 $u$ 벡터와 $v$ 벡터를 내적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투영된 벡터의 길이$p$라고 하겠습니다. 그렇게 되면 $u^Tv = p∥u∥ = u_1v_1+u_2v_2$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때 $p$는 $u$와 $v$ 벡터의 차이가 90도가 넘어가면 음수, 그렇지 않으면 양수가 됩니다.

이때 $∣u∣$는 $u$ 벡터의 euclidean length(Euclidean distance)벡터의 길이를 의마합니다. 따라서 $∣u∣$는 $\sqrt{u_1^2+u_2^2}$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두 벡터 $u$, $v$의 내적 $u^Tv$는 $u_1v_1+u_2v_2$이며, 이것은 $p * ∥u∥$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Decision Boundary

image

이제 방금 우리가 다룬 것을 SVM의 Decision Boundary에 적용해보겠습니다. 기존의 우리가 보았던 $u$, $v$ 벡터를 각각 $θ$와 $x$에 대한 벡터로 생각하시고, 마찬가지로 각 벡터는 두 개의 값을 가집니다. 우선 이해를 위해서는 $θ_0$는 0으로 놓겠습니다.

SVM의 Decision Boundary는 $n$개의 $θ$를 제곱하여 합한 값의 $\frac{1}{2}$이었습니다. 이것을 풀어서 쓰면 $\frac{1}{2}(θ_1^2+θ_2^2)$와 같고, $x = \sqrt{x^2}$를 이용하면 $\frac{1}{2}\sqrt{(θ_1^2+θ_2^2)^2}$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때 $\frac{1}{2}\sqrt{(θ_1^2+θ_2^2)^2}$는 $∥θ∥$와 같아서 최종적으로 나온 $\frac{1}{2} ∗ (∥θ∥)^2$가 Decision Boundary가 되겠습니다.

우리가 이전 포스팅에서 Cost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y^{(i)} = 1$이기 위해서는 $θ^Tx^{(i)} ≥ 1$이어야 했습니다. 이때 $θ^Tx^{(i)}$이 $p^{(i)} ∗ ∥θ∥$와 같기 때문에 $p^{(i)} ∗ ∥θ∥ ≥ 1$이어야 한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반대의 경우 $y^{(i)} = 0$이기 위해서는 $p^{(i)} ∗ ∥θ∥ ≤ -1$이어야 합니다.

따라서 위 그래프를 다시 표현하면 $θ^Tx^{(i)}$는 $p^{(i)} ∗ ∥θ∥$와 $θ_1x_1^{(i)} + θ_2x_2^{(i)}$와 같습니다.

image

이제 왼쪽 그래프처럼 대각선인 Decision Boundary가 있다고 생각해보겠습니다. 이때 이것과 직각으로 $θ$ 벡터가 생성되고, 각 데이터들이 위에서 말한 $x$ 벡터들이 됩니다.

이때 $θ$ 벡터에, $o$, $x$데이터를 투영하여 생성된 $p^{(i)}$의 길이가 굉장히 작다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것은 Cost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p^{(i)} ∗ ∥θ∥$가 1보다 크거나 -1보다 작기 위해서는 $∥θ∥$가 커야함을 시사합니다. 좀더 나아가 $θ$ 벡터의 길이가 커져야한다는 것$θ$값이 커져야 한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Cost함수가 $θ^2$의 합인 SVM입장에선 좋은 케이스가 아닙니다.

이번엔 오른쪽 그래프처럼 $y$축과 일치하는 Decision Boundary를 생각해보겠습니다. 이때 이것과 직각인 $θ$ 벡터가 생성되고 이는 $x$축과 일치합니다.역시 마찬가지로 $o$, $x$ 데이터를 투영하여 생성된 $p^{(i)}$를 보시면 그 길이가 상대적으로 큰 값을 가지게 됩니다. 결국 이것은 $∥θ∥$가 상대적으로 작아도 된다는 것을 시사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는 곧 $θ$ 값이 그만큼 작아진다는 의미가 되므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좋은 케이스가 됩니다.

정리하자면 Cost를 최소화하는데 있어서 $p$와 $∥θ∥$는 반비례 관계를 가짐을 알 수 있습니다. 여기에 $p$가 커진다는 것은 Decision Boundary와 data간의 margin이 커진다는 것과 같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우리가 본 예시들은 $θ_0$를 0으로 놓음에 따라 $θ$ 벡터가 원점을 지나는 경우를 관찰해 보았습니다. 만약 $θ_0$가 0이 아니라면 원점이 아닌 다른 점을 지나는 벡터가 될 것이고 그 지점에서 Margin이 큰 Decision Boundary를 만드려고 할 것입니다.

댓글남기기